Top
기사 메일전송
개인돈 불법사채업자와 도박꾼들.
  • 한국TI인권시민연대 논설위원
  • 등록 2024-09-02 20:35:51
  • 수정 2024-09-12 15:55:38
기사수정
  • 자신을 넘어 부모와 처와 자식을 좀먹는 자들


개인돈 불법사채업자의 주요 고객이 도박꾼들입니다.

불법사채업자들이야 범죄자라는 것을 잘 아실 것입니다.

 

도박꾼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 싶습니다.

 

시민단체 자체자금으로도 어려운 피해님들을 돕지만

사실 시민단체들 활동자들은 제대로 된 급여도 못받으면서도

어려운 피해님들 보게되면 사비까지 털어서 피해님들을 도와드리는 입장입니다.

사실 어려운분들이 선한분들이 많습니다.

어려운 가운데도 변제를 하시죠.

 

그런데 유독 변제를 안하는 분들중에 

어렵게 사채정리를 해드리면 또 사채를 쓰시고 이곳 저곳 해결사(솔루션)와 시민단체 변호사를 전전하며 해결을 도움받아 사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바로 도박꾼들입니다.

 

도박에 빠지면 마약처럼 처도 맞기고 노름한다는 옛말을 체감할 정도입니다.

이 도박꾼들이 어디서 도박을 하는지 아십니까?

직장에서 집에서 대중교통에서 술자리에서 스마트폰으로 합니다.

피시방에서 아이들 본데서 노름을 합니다.

 

도박과 아이들문제 기사가 있었죠.

아이들이 도박총책을 맡아서 도박중독과 사채중독에 빠져 살고

광고로 추천인 마케팅으로 도박자금 마련하는 시스템이라고요.

 

도박꾼들이 이 아이들에게 추천인 포인트를 제공합니다.

가정에 짐사회와 조국에 짐들입니다.

 

우리 주변에서 도박꾼 멀리합시다!.

조국을 가정을 직장을 사회를 좀먹는 자들입니다.

도박의 도파민을 못이기고 가정과 사회를 좀먹는 자들입니다.

 

 

 

도박꾼의 뇌는 도박업자와 사채업자의 것입니다신뢰하시면 안됩니다.



전파무기 사채인권범죄 전문뉴스선한사마리안의 신문

https://gstimes.co.kr/

 

우리 모두가 나서야 한다.

한국TI 인권시민연대불법사채 대응센터와 02-877-2696 / 010-3476-2696

행동주의 신문 선한 사마리안의 신문이 법개정 활동과 

채무종결협상과 추심중재 및 법률사무소와 연대하여 형사소송 손해배상 청구를 적극 함께하고 있습니다.

 

 

불법사채 개인돈 대출시 준비사항

┗ 아무리 말려도 쓰는 개인돈 불법사채

┗ crying.....

 

1. 고소를 위한 대출업자의 인적사항 확보-

(대출나라를 이용해 주십시오-네이버 지식인과 까페 신원확보 안됩니다.)

대출나라에서 연락처를 올리지 마시고,

광고낸 업체를 전화해서 상담하고 녹취하며 대부업등록번호와 주소대표자를 기록해야 합니다.

처음 전화를 하면 전화를 고의로 안받고 한참후 다른 연락처로 전화가 옵니다.

업체정보를 모르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차분히 한곳씩 통화하며 신원확보후 이용하셔야 합니다.

녹취하시며 어디 대부죠하며 상담 받으세요.

 

2. 카톡과 내용차량번호등과 계좌를 잘 확보해둬야 합니다.

 

3. 아무리 어려워도 이자를 조금이라도 내는게 좋습니다.

대부업법중 이자를 수취하여야만 처벌이 된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대부이자를 수취하지 않아도 처벌되는 다른 혐의도 발생하긴 합니다.

 

4. 가족과 지인연락처를 거부하고 최소로 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그분들 연락처를 미리 사고시 양해받을수 있는 연락처로 준비해야 합니다.

가족분들 연락처도 그런분들로 바꿔 놓는거죠.

 

아무리 자신있어도 운좋게 한두번 갚으실수 있어도 이 수천%의 이자 

절대 못갚습니다.

결국 사고나서 가족과 지인추심 들어오는데 그때 업자를 압박하는 협상카드가 됩니다.

그리고 어느 변호사를 찾아가도 어느 솔루션을 찾아가도 

결국은 경찰과 법을 믿고 협상하게 됩니다.

 

검거할 정보를 최대한 확보하여야 업자가 위축됩니다.

 

 

전파무기 사채인권범죄 전문뉴스선한사마리안의 신문

https://gstimes.co.kr/

 

 

 

편집부 한국TI 인권시민연대 불법사채대응센터

 

관련기사
TAG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유니세프
국민신문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